안녕하세요
페트라입니다 :)
오늘은 카르페디엠 2주 차 날이에요.
9시 반에 도착해서 연습용 대본을 읽었어요.
오늘은 오전 오후 두 회차 다 라디오 뉴스 수업을 진행한다고 해요.
뉴스는 방송가에 데뷔하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 장르예요.
보통 1차 시험이 뉴스이기 때문이기도 한데요.
그래서 뉴스 연습을 놓지 말고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.
[1교시]
(TV 뉴스와 라디오 뉴스)
- TV 뉴스는 도와주는 시각요소들이 있음(동작, 연출)
- 라디오 뉴스는 시간을 초단위로 계산하면서 혼자 모든 걸 해결해야 함
기초적인 발음, 발성, 호흡이 안되면 무너져버림(기본기가 중요함)
- TV 뉴스 : 프라임 8시, 9시
- 라디오 뉴스 : 프라임 출퇴근 7시, 점심시간 12시/3분 10초(6장~7장 대본), 5분, 10분~13분, 20분~25분
(라디오 뉴스 매뉴얼)
1) 30초 정도 남았을 때 날씨로 넘어가야 함
2) 시간이 남을 때 쓰기 위한 범퍼 멘트를 준비해둬야 함(쿠션 멘트)
- 서울지방 기온은 영상 23도입니다.
- 지금까지 아나운서 김영현이었습니다.
- MBC 뉴스를 마칩니다.
3) 7초부터 방송사고
4) 1~2초 남기고 끝나야 함(시그널 들어가는 시간)
(뉴스의 요소)
(1) 강조(3가지를 활용해서 뉴스를 읽어야 함)
1) 엑센트 : 키워드라고 생각하는 단어/명사 첫머리에 강조, 서술어는 엑센트 X
의미단위로 묶였을 경우에도 첫머리에
ex) [세]계 식량 가격 [] 악센트
2) 속도조절
3) pause
- '/' 온 포즈(한 박자) : 의미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. 충분히 쉬어주면서 호흡을 탄탄하게 보충
ex) 고속버스가/1 중앙선을 침범해/2마주오던 승용차와 충돌했습니다.
1 - 승용차가 중앙선 침범
2 - 고속버스가 중앙선 침범
- 'V' 반 포즈(반박자) : 호흡 보충, 강조(바로 다음 단어)
ex) 세상에서 제일 소중한 존재는 바로 나 자신이다
- 'v'
- '//'
이름보다 어떻게 사용하는 게 더 중요
(2) 톤
(3) 흐름
1) 평조 유지 : 어조가 평탄하게 진행돼야 함 상승조 변조 X. 가장 안정적인 목소리. 청취자가 피곤하지 않음
- pause, 마지막 서술어만 내리기(한 글자만 뚝 떨어지는 게 아니고 서서히 내려가기)
- 반 pause는 의미 덩어리로 묶어서 사용하기(잦은 사용 X)
- 서술어 앞에서 쉬지 않기
(아나운서 평가 요소)
(1) 음성 : 발음, 발성(얼마나 시원시원하게 소리를 낼 수 있는가), 음색
1) 첫 소개가 중요함
2) 자음을 분명하게 발음해야 함> 혀의 위치가 가장 중요
ex) 한국관광공사 [광강X]
3) 모음 : 입술 모양, 크기 특히나 이중모음이 중요
- '아'는 첫 음일 때만 손가락 엄지 검지중지 들어가게, 마지막에 있을 때는 자연스럽게
- '애'는 손가락 엄지검지 들어가게
- '에'는 손가락 엄지 들어가게
4) 음색 : 각자가 가지고 있는 음색을 듣는 사람이 가장 편하게 해야 함
(2) 시각 이미지
1) 내가 지원하고자 하는 방송국에서 선호하는 스타일링(해당 방송국에 있는 아나운서의 스타일링 분석. 10회 차 이후부터 준비)
2) 제스처, 눈빛(카메라를 바라보는 시선처리법- 어떤 눈빛으로 어떤 타이밍에 카메라의 어떤 부분을 봐야 되는지)
(3) 내용 전달력
1) 이해한 상태에서 읽고 있는지/활자만 읽고 있는지
2) 원고를 받으면 내용 분석 먼저 > 그래야 어디를 강조해야 되는지 알 수 있음
(비음화와 유음화)
(1) 비음화
ㄴ ㅁ ㅇ -> ㄹ을 ㄴ으로
[강능] [종노]
(2) 유음화
(장음)
- 장음 처리 과도하게 하지 않기
- 장음+장음 시 뒤에 장음은 단음처럼 읽기
- 숫자 장음 : 이사오만쉰 석넉 두세네(셋넷)열
(뉴스 리딩) - 세계 식량 가격
- 최고치 : [최고치] [채 X]
- '포인트'는 대체로 키워드
- 뉴스 종결어미는 더 내리기
- 클로징 시그널을 줄 수 있는 멘트도 해야 협업이 가능
- 177명 [백일흔일곱명] 177인[백칠십칠인] 일의 자리만 빼고 읽어보기
- ㅇ 된소리 X
(뉴스 리딩 피드백) - 코로나19
- 마지막 음절 늘리지 말기
- 분절감이 심함(계속 내리니까 분절감이 생김)
- 한 호흡이 길게
[2교시]
1. 표준 발음법 이론 수업_이중모음
1) 민주주의의 의의[민주주이에 의이]
- 소유격을 나타내는 소유격 '의'는 [에]라고 발음해도 됨
- 첫 단어 의는 [의]로 발음
2. 표준 발음법 이론 수업_외래어 표기법
1) 외국어는 외래어 표기법으로
2) 틀리기 쉬운 표현
- 기브스 X > 깁스
- 리더쉽 X > 리더십
- 링겔 X > 링거
- 샷시 X > 새시
3) 한자는 한글로 바꿔서(ex 계란 > 달걀)
3. 화폐단위 읽기
- 천 원, 만원, 백만 원, 천만원은 앞에 숫자 '1'이 있더라도 천원, 만원, 백만원, 천만 원이라고 읽음(일상생활 반영)
누락 가능성 때문에 천 원인걸 표기할 뿐이지 읽으라는 뜻은 아님
- 억부터는 앞에 숫자 붙여서 말하기
4. 군사용어나 처음 보는 용어를 봤을 때
- K2 [케이투] K9 [케이나인] K14 [케이십사] K16 [케이십육]
- 모든 뉴스는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송출되어야 함. 아무리 못 배웠어도 영어로 말했을 때 10까지는 카운트를 할 수 있음
- 고유명사, 행사명 : 기자> 보도자료 배포처한테 확인. 아나운서가 돼도 물어보는 걸 부끄러워하지 않기(읽는 방식이 다 다름)
5. 방송사마다 시그널이 다름(KBS는 "KBS", MBC는 (손)이라고 함=손들기)
6. 뉴스 홈페이지 들어가서 경제/국제 위주로 많이 읽어보기(숫자나 익숙하지 않은 용어가 많음)
- % 와 %p : 2020 20% 2021 10%p(2020년 대비 30%상승) 2022
- 절댓값의 차이를 계산할 때는 %p
(숙제)
- 종합 뉴스 하루에 하나씩 챙겨보기
- 천천히 읽는 준비하기
- 모니터링하고 다시 수정해서 하는 것까지 연습
- 음의 높낮이 찍어보기 > 다시 평조로 해보기
- 입안 모양 밑에서 큰 거울로 찍어보기 하품해보기 입안이 가장 넓어졌을 때 가갸거겨 해보기
'취미요정 페트라 > 도전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.07.03 봄온아카데미 카르페디엠 4주차 공부기록 (0) | 2022.07.04 |
---|---|
22.06.26 봄온아카데미 카르페디엠 3주차 공부기록 (0) | 2022.06.30 |
22.06.12 봄온아카데미 카르페디엠 1주차 공부기록 (0) | 2022.06.15 |
봄온 아나운서 학원 등록하다!(아나운서 학원 커리큘럼/계기/상담 후기) (0) | 2022.06.02 |
5월의 슬럼프 어딘가 즈음에서. (0) | 2022.05.18 |
댓글